본문 바로가기

해외뉴스

가톨릭대병원 신생아 학대, 부모는 묻습니다 “이게 개인 일탈입니까?” "또 개인 일탈? 이게 종교의 생명을 대하는 최선입니까?"

대구가톨릭대병원이 최근 논란이 된 중환자실 신생아 학대와 관련, 지난 5일 병원 공식 유튜브 채널에 사과 영상을 올렸다. 영상에서 발언하고 있는 김윤영 병원장. 대구가톨릭대병원 유튜브 캡처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27942339&code=61121211&cp=nv

“설마 우리 아이에게 그랬을 줄은…”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부모로서 도저히 상상도 하기 싫은 일이 벌어졌습니다. 갓 태어난 생명, 이제 겨우 세상에 나온 지 일주일 된 아이가 간호사들에 의해 조롱당하고 학대당했다는 사실은, 우리 같은 부모에게 말할 수 없는 충격이었습니다. “낙상 마렵다”는 말, “성질 더럽네”라는 표현이 SNS에 버젓이 올라온 걸 보고도 믿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 아이는 아직 이름도 다 못 부른 우리 아이들입니다. 생명 줄에 의지해 있는 그 작은 아이에게, 어떻게 그런 말을 할 수 있나요.

“이건 일탈이 아닙니다. 몇 달을 그렇게 했다면, 그건 문화입니다.”

더 안타까운 건, 이런 일이 하루 이틀에 벌어진 것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피해 부모의 제보에 따르면, 학대 의심 글과 사진은 작년 8월부터 계속되어 왔다고 합니다. 몇 달 동안이나, 여러 명의 간호사가 신생아들을 조롱하고 모욕했는데, 병원은 단 한 번도 그 사실을 몰랐다고 했습니다. CCTV도 없었습니다. 우리가 아이를 믿고 맡긴 그곳에, 아이를 지켜볼 수 있는 장치조차 없었습니다.

이건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병원의 구조적인 문제 아닙니까? 내부 고발자가 용기를 내지 않았다면, 우리 아이는 학대를 당하고도 평생 아무 말도 못 하고 살아갔을 겁니다. 병원이, 그걸 몰랐다는 사실 자체가 부모들에겐 두 번째 상처입니다.

병원의 ‘선 긋기’, 부모의 마음에는 다시 한번 비수가 됩니다

병원은 말합니다. “성실한 간호사들까지 오해받을까 걱정이다.” “개인의 일탈이다.” 하지만 우리 부모들에겐 그런 해명이 더 고통스럽습니다. 처음부터 사과도 없었고, 재발 방지 대책도 없었습니다. 우리는 아이가 겪은 고통을 생각하며 가슴을 부여잡고 있는데, 병원은 조직을 지키는 데 더 집중하는 듯 보였습니다. 정작 교수와 센터장은 사과했지만, 병원 측만 “모르쇠”로 일관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우리는 더 분노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가톨릭 이름의 무게, 그만큼 책임도 커야 하지 않나요?

가톨릭병원이라는 이름을 믿고, 인간 생명과 존엄을 중시하는 기관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 신뢰가 이렇게 무너질 줄은 몰랐습니다. 도덕성과 윤리의식을 강조하는 병원에서, 어떻게 아이에게 낙상을 운운하고 조롱하는 행동이 묵인될 수 있었던 걸까요? 부모들은 말뿐인 미션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주길 바랐습니다.

우리는 단지 ‘다시는’ 이런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2019년 부산에서도, 신생아 학대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 아기는 결국 평생 의식 없는 몸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또 이런 일이, 그것도 가톨릭대병원에서 반복됐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왜 그땐 못 막았을까” 하는 깊은 자책감을 안깁니다.

그래서 말합니다. 진심으로, 간절하게 호소합니다.
이 일을 단지 ‘개인의 일탈’이라 치부하지 마세요.
부모가 아이를 맡기며 느끼는 그 믿음, 그 신뢰를 저버리는 일이 다시는 없어야 합니다.
병원이 먼저 책임을 통감하고, 구조를 바꾸고, 제대로 된 감시 장치와 교육, 대책을 마련해 주십시오.

우리는 단지 상식적인 걸 바라는 것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조롱받지 않고, 학대당하지 않고, 생명을 존중받으며 자랄 수 있는 환경.
그게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요?

이번 사건을 보고, 아직도 가톨릭이라는 이름이 부끄럽지 않길 바랍니다.
그리고 그 이름 앞에서, 모든 부모의 마음을 담아 묻습니다.

“진짜, 이게 ‘개인의 일탈’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