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뉴스

사치스러운 음악회:고통받는 이들을 위한 진정한 도움은 어디에? "교황의 진정한 의도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문 10주년 기념 음악회가 열린 소식은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교황이 고통받는 이들과의 연대를 강조하며 평화와 공감을 외쳤지만, 이러한 호화로운 음악회는 그 메시지와는 상반된다. 전쟁과 폭력, 가난 속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보다, 오히려 교회의 이미지를 사치스럽고 형식적이게 비칠 위험이 크다.

교황은 '가난한 교회의 가난한 교황'을 표방해 왔지만, 그의 교황직 기간 동안 사치스러운 모습이 여러 차례 포착되며 비판을 받고 있다. 교황청의 행사와 의전에서 사용되는 고가의 장식품과 호화로운 복장, 이동 수단은 교회의 가르침과 교황의 연대 메시지와 상충된다는 지적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전 세계적으로 고통받는 이들의 현실과 큰 격차를 보이며, 교황이 주장하는 '겸손과 연대'의 가치와는 어긋나게 된다.

바티칸의 연간 예산은 약 8억 유로(약 1조 1천억 원)로, 이 중 상당 부분이 유지비, 행사, 의전 비용으로 사용된다. 이 예산으로 실제로 굶주림과 가난 속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구원할 수 있는 가능성은 크다. 세계식량계획(WFP)에 따르면, 1인당 하루 식비는 약 50센트(한화 약 670원)로 계산된다. 바티칸의 연간 예산으로 약 1,6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하루 세끼 식사를 제공할 수 있는 금액이다. 이는 음악회와 같은 호화로운 행사를 여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이들의 삶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더욱이 바티칸 내부에서는 수년간 횡령과 비리 사건들이 반복되고 있다. 2021년에 드러난 바티칸 재정 관련 베추 추기경의 스캔들은 교황청의 일부 관리들이 자금을 부적절하게 사용하고 횡령한 혐의로 기소된 사건이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바티칸의 재정 관리에 대한 신뢰는 크게 손상되었고, 교회의 재정이 투명하지 않다는 비판이 거세졌다. 이러한 문제들은 교황이 강조하는 '겸손과 연대'의 메시지와 정면으로 충돌한다. 사치스러운 행사들이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어떤 도움도 주지 않는 상황에서, 교회의 재정은 부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실망을 준다.

이번 음악회는 다음과 같은 일정으로 진행되었다:
• 일시: 2024년 10월 19일 18시 30분
• 장소: 솔뫼성지 아레나 광장
• 출연:

플라워(고유진)
해봄가야금연주단
대전교구 쳄버 오케스트라
세종 크레센스 합창단
대전교구 소녀소년합창단
당진지구 가톨릭 연합성가대


이러한 음악회는 교황의 방문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열렸겠지만, 그 의도가 무엇이든지 간에 실제로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위로가 되지 않는다. 음악회가 열리는 동안에도 여전히 폭격 속에서 고통받고 있는 난민들, 집을 잃은 이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가족들이 존재한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아름다운 음악의 선율이 아니라, 그들이 처한 절망적인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이다.

교회의 역할은 단순히 상징적인 행사를 통해 주목을 받는 것이 아니라, 실제 행동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돕는 데 있다. 음악회가 주는 위로는 잠시일 뿐, 폭력과 불의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공허한 메아리일 뿐이다. 교황의 연대 메시지가 진정성을 가지려면, 이러한 상징적 행사가 아닌 구체적인 행동이 필요하다. 음악회를 여는 대신 그 비용을 난민 지원이나 전쟁 피해 복구에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의미 있는 일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전쟁과 폭력의 현실을 비판하고 고통받는 사람들과의 연대를 강조해 왔다. 그러나 그 메시지가 진정한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말뿐만 아니라 행동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번 음악회는 교황의 의도와는 달리, 교회의 연대 메시지를 더욱 공허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지금 필요한 것은 감동적인 연설이나 성대한 음악회가 아니라, 고통 속에 있는 사람들을 위한 실질적인 도움과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행동이다.

교황이 진정으로 평화와 연대를 원한다면, 그 메시지가 단순한 선언에 그치지 않고 실제적인 지원과 행동으로 이어져야 한다. 음악회와 같은 행사들이 아니라, 고통받는 사람들의 삶을 직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 교회의 진정성을 보여줄 때이다. 지금은 말보다 행동이 필요한 시점이다.